[초고령화 시대 노인 일자리] “정부 차원보다 지역 단위로 일자리 컨트롤 타워 구축, 기업과 5060 구직자 연결해줘야”

신수민 2024. 4. 27. 00:3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SPECIAL REPORT
박경하
49.4세. 중장년층의 평균 퇴직 연령이 50세를 밑돌고 있다. 지난해 50세 이전 퇴직 비율은 45.9%에 달했다. 권고사직·명예퇴직·정리해고 등에 따른 ‘비자발적 퇴직’도 56.5%로 절반을 넘었다. 60세까지 정년을 채우고 은퇴하기가 훨씬 더 힘들어진 셈이다.

이에 대해 박경하(사진) 한국노인인력개발원 연구조사부장은 “이른 연령대의 퇴직이 갈수록 늘고 있는 상황에서 준비도 제대로 하지 못한 채 직장 밖으로 내몰릴 경우 원하는 노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며 “5060세대를 대상으로 한 재취업 교육 강화와 지역 단위 연계 시스템 구축 등을 통해 일자리 미스매치를 최소화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Q : 5060세대의 퇴직 후 일자리 고민이 크다.
A : “은퇴도 두렵지만 막상 준비하려 해도 막연하다는 게 고민이다. 평균수명이 83세가 넘는 상황에서 기나긴 노후를 어떻게 보낼지 다들 매우 막막해하고 있다. 반대로 조기 퇴직자 중 성공한 케이스를 보면 공통적으로 퇴직 전 교육을 충실히 받고 관련 자격증도 취득한 경우가 많았다. 장기간 미리 고민하고 준비한 덕에 좀 더 만족스러운 형태의 일자리를 찾아가고 있다. ‘준비가 빠를수록 성공 확률이 높아진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Q : 준비해도 원하는 일자리 찾기가 어려운 게 현실이다.
A : “노인 일자리 미스매치 탓이 크다. 현재 노인 일자리 사업은 고용노동부와 여성가족부 등 여러 정부 부처에서 각각의 사업을 담당하고 있다. 이런 분절적 시스템으로 인해 구직자는 특정 부처 내 일자리 정보만 얻게 된다. 원하는 일자리가 다른 부처에 있는데도 놓치기 십상이란 얘기다. 게다가 최근 수요가 높아지는 취업형 일자리의 경우 기업 일자리를 알선해 주는 형태로 이뤄지다 보니 구인·구직자가 직접 매칭되는 것보다는 아무래도 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더 늦기 전에 구인·구직자 ‘연계’를 촘촘히 할 구심점을 마련해야 한다.”

Q : 어떤 대안이 가능할까.
A : “각 부처의 노인 일자리 사업을 총괄 관리하는 컨트롤 타워가 사실상 부재한 만큼 통합 체계를 시급히 구축해야 한다. 이와 관련, 지역 단위로 컨트롤 타워를 세우는 게 현실적 대안이 될 수 있다. 구인·구직자의 다양한 수요를 최대한 세세하게 들여다보고 이를 적재적소에 반영해 선택지를 늘리는 데는 정부라는 큰 단위보다는 지자체나 지역 단체 단위가 훨씬 더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구인기업에 지역 내 구직자 정보를 제공해 원하는 경력자를 직접 채용하도록 연결해 주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이다. 현재 한국노인인력개발원도 지역본부 차원에서 구직 의사가 있는 곳과 일일이 개별적으로 업무협약을 맺고 있지만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Q : 해외에선 어떻게 하고 있나.
A : “일본 도쿄도 일자리센터를 참고할 만하다. 고령자들이 기업에서 요구하는 역량을 교육받도록 한 뒤 센터에 등록된 500여 개 기업에 수강자 정보를 제공해 구직자를 직접 고용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대기업이나 중소기업 경력자의 재취업이 자연스레 늘게 되는 구조인 셈이다. 다만 기업 부담도 무시할 수 없는 만큼 정부도 인센티브 확대 등을 통해 5060 고용 환경 조성에 적극 나서야 할 때다.”

신수민 기자 shin.sumi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SUN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