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상공 지나는 스타링크 감시할 전용시스템 만든다

스페이스X 스타링크
스페이스X 스타링크

한반도 상공을 지나는 위성 수가 급증하면서 정부가 이를 체계적으로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 강화에 나섰다. 그 중에서도 스타링크 등 급증하는 저궤도 위성에 대응하기 위한 전용 감시체계 마련에 속도를 낸다. 전파 충돌과 혼·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앙전파관리소는 저궤도 위성 감시시스템 구축을 위한 민관 합동 태스크포스(TF)를 발족했다. TF에는 중앙전파관리소 산하 위성전파감시센터를 비롯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전문위원과 관련 위성장비기업 등 민·관·학이 모두 참여했다. 센터는 2026년을 목표로 한반도 상공을 지나는 저궤도 위성을 체계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전용 시스템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정부가 저궤도 위성통신 감시시스템 구축을 서두르는 것은 세계적으로 위성 발사량이 급증하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전세계에서 운용 중인 비정지궤도 위성은 2019년 2070기에서 2020년 3194기, 2021년 4407기, 2022년 6282기, 2023년 8810기로 급증했다.

이 가운데 대부분은 스타링크·원웹 등 우주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저궤도 위성이다. 한반도 상공을 통과하는 저궤도 위성은 2019년 368기에서 지난해 약 7500기로 5년새 20배가량 늘었다.

스타링크와 원웹은 올해 국내 서비스 개시를 목표로 국경간 공급협정 승인 절차를 밟고 있다. 위성체 증가와 국내 도입 임박에 따라 위성전파 송신에 따른 주파수 혼신을 방지할 수 있는 감시 인프라 확충 필요성이 커졌다.

불법, 혼신 등 간섭전파 발사원을 신속히 색출하기 위해서는 동경 55°에서 서경 160° 상공의 국내·외 위성에서 발사하는 신호를 수신해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운용기준 준수 여부를 감시해야 한다. 감시 대상 비정지궤도 위성수만 하루 수십기에 이른다.

문제는 국내 위성전파감시센터에서 저궤도 위성 감시가 어렵다는 점이다. 센터에는 현재 2개의 정지궤도 위성, 4개의 비정지궤도 위성 감시국을 운영 중이다. 비정지위성 전파를 감시하는 3~6국 중 저궤도 위성통신용 Ku밴드(12~18㎓)·Ka밴드(26.5~40㎓) 주파수를 감시할 수 있는 곳은 감시5국 한 곳뿐이다. 그마저도 저궤도 위성이 쓰는 빔포밍 기술 관련 감시에는 한계가 있다.

정부는 급증하는 저궤도 위성 감시능력 확보를 위한 신규 시스템 구축을 서두른다는 방침이다. 경기 이천 위성전파감시센터에 우선적으로 1식을 마련한 후 위성 서비스 시장 추이를 고려해 전국으로 점진적 확대에 나선다.
위성전파감시센터 관계자는 “기존 장비로는 저궤도 위성 감시에 한계가 있는 만큼 TF를 통해 하드웨어와 기술 측면에서 최적의 감시 시스템 마련 논의를 진행 중”이라며 “예산 확보를 위한 제안요청서(RFP)를 준비 중이며 2026년까지 시스템 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위성전파 감시시스템 개념도
위성전파 감시시스템 개념도

박준호 기자 junho@etnews.com